변수란?
변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
수학에서 변수는 변하는 값을 뜻하지만
컴퓨터에선 그 변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을 뜻합니다
쉽게 말하면 값을 담는 그릇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그렇다면 변수는 어떻게 생성할까요?
변수 = 값
위와 같이 그릇에 값을 넣어 주어서 생성합니다
위에서 말한 내용을 좀더 멋지게 표현하자면
파이썬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되는 자료를 객체(object)라고 하며
이 객체를 저장한 공간을 변수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변수명 생성방법
변수명을 생성하기 위해선 몇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1. 변수명은 한글, 영어 소문자, 대문자, 숫자, _ 이렇게 4가지만 사용하여 만듭니다
2. 시작을 숫자로 할 수는 없습니다
3. 키워드를 변수명으로 쓰면 안된다
-키워드의 종류-
False class from or None continue global pass
True def if raise and del import return
as elif in try assert else is while
async except lambda with await finally nonlocal yield
break for not
변수에 값 지정하는법
변수 = 값
1
|
a = 10
|
cs |
변수 = 변수
1
2
3
|
a = 10
b = 20
c = a + b
|
cs |
변수의 자료형
파이썬에서 쓰는 모든 자료 => 객체
데이터 유형 | 객체 유형 | 예시 |
정수 | int | 1, 2 , -3, 0 |
실수 | float | 0.1, 0.2 , -0.3 |
복소수 | complex | 1+2i, -1+2i |
문자열 | str | "Hello", "World"같이 ""안에 있는것 |
부울 | Bool | True, False |
리스트 | list | ["a", "b"] |
튜플 | tuple | ("a", "b") |
딕셔너리 | dic | {1:"a", 2:"b"} |
집합 | set | {"a", "b"} |
정수형
소수점이 없는 1, 2 같은 수의 데이터로 int가 기본 데이터 형식입니다
실수형
소수점이 있는 0.1 같은 수 의 데이터로 float가 기본 데이터 형식입니다
문자열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속에 들어있는 데이터 입니다.
지금까지 가볍게 파이썬의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크게 어렵지 않으실 겁니다
앞으로도 더 좋은 글로 찾아오겠습니다!
'코딩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연산자 종류와 입출력 (0) | 2022.03.03 |
---|---|
파이썬 입력과 출력 (input , print함수) (4) | 2022.02.18 |
파이썬 이스케이프 문자와 주석 (4) | 2022.02.01 |
파이썬 시작하기(처음 시작후 둘러보기 + print 함수) (0) | 2022.01.31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Visual Studio Code) 설치 + 파이썬 사용 세팅 (0) | 2022.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