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파이썬의 입력과 출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입력에 대표적인 함수 2개가 있는데요
input함수와 print함수 입니다
print 소개후
input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를 활용한 print() 함수
1. 정수형 데이터 서식
%d = 10진수
%x = 16진수
%o = 8진수
1
2
3
4
|
a = 10
print("%d" %a) #결과=10
print("%x" %a) #결과=a
print("%o" %a) #결과=12
|
cs |
%필드폭d = 왼쪽에 필드폭에 적힌 수만큼 공백이 생깁니다
%0필드폭 = 왼쪽에 필드폭에 적힌 수만큼 0이 생깁니다
1
2
3
|
a = 10
print("%5d" %a) #결과= 10
print("%05d" %a) #결과=0000010
|
cs |
%-d=왼쪽정렬
%+d=+부호가 표시됩니다
2. 실수형 데이터 서식
%f =소수점 아래 여섯자리를 출력합니다
1
2
|
a = 10.23
print("%f" %a) #결과=10.230000
|
cs |
%필드폭.정밀도f
1
2
3
4
5
|
a = "대한민국"
b = "돈"
print("%s" %a) #결과=대한민국
print("%c" %a) #결과=돈
print("%5s" %a) #결과= 대한민국
|
cs |
%서식을 사용할때 print함수의 유의점
-서식의 개수와 % 뒤에 나오는 숫자(또는 문자)의 개수가 같아야 합니다
ex) %를 1개쓰면 뒤에도 %는 1개여야한다
-서식과 숫자는 대응되어야 합니다
input() 함수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을 받는 함수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
a = input("글자를 써주세요 :")
print("%s" %a)
#결과
글자를 써주세요 :
=> 이상태에서 원하는 글자 입력 ex)파이썬
글자를 써주세요 : 파이썬
파이썬
|
cs |
참고로 input() 으로 무언가를 받으면 문자열 형식이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형변환을 해주어야 합니다
ex) int(), float(), str()...
예를 들어 숫자 1을 받아서 정수형으로 쓰고 싶으면
1
2
3
4
5
6
7
8
9
10
11
|
a = int(input("숫자를 써주세요 :"))
print("%s" %a)
#결과
글자를 써주세요 :
=> 이상태에서 원하는 숫자 입력 ex)1
글자를 써주세요 : 1
1
|
cs |
이런식으로 활용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간단하게
파이썬의 입력과 출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연산자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코딩 >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조건문(if, else, elif, 중첩if) (0) | 2022.03.05 |
---|---|
파이썬 연산자 종류와 입출력 (0) | 2022.03.03 |
파이썬 변수와 자료형 (0) | 2022.02.11 |
파이썬 이스케이프 문자와 주석 (4) | 2022.02.01 |
파이썬 시작하기(처음 시작후 둘러보기 + print 함수) (0) | 2022.01.31 |